충효 교육의 중심, 향교

향교란

향교는 고려와 조선의 지방 교육기관이며, 유교 교육과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2가지 역할을 맡았다. 

성균관이 대학에 해당하는 중앙의 최고 교육기관이라면 향교는 초등교육기관이라 할 서당을 마친 유생들이 중등교육을 받는 지방 최고의 교육기관으로서 현재의 중·고등학교에 대응된다. 또 다른 교육기관인 서원과는 기능이나 목적은 같으나 서원이 사학기관임에 반하여 향교는 지방관청에 속한 관학기관임에 차이가 있다.

향교의 발생은 적어도 고려 중엽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본격적인 지방교육제도로 정착한 것은 유교이념을 바탕으로 건국한 조선에 들어선 다음이다. 조선의 지배계급은 군현제를 통한 중앙집권적 정치구조를 강화하여 향촌사회를 자신들의 정치질서 속에 편입시키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유교라는 그들의 통치이념과 지배질서를 기층사회에까지 침투시키려 했다. 그 수단으로 나타난 것이 교육의 정비와 확산이었으며 향교는 이런 배경 속에서 전국 각지의 주·부·군·현에 각각 하나씩 세워지게 되었다.

경내 건물로는 문묘(文廟), 명륜당(明倫堂), 중국과 한국 역사를 통틀어 어진 인물들을 제사지내는 동무와 서무, 유생들이 생활하는 동재, 서재가 있었다. 동재에는 양반, 서재에는 서류를 두었다. 

향교는 각 지방관청의 관할 아래에 두어 부(府), 대도호부(大都護府), 목(牧)에는 각 90명, 도호부에는 70명, 군(郡)에는 50명, 현(縣)에는 30명의 학생을 수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종6품의 교수와 정9품의 훈도를 두도록 《경국대전》에 규정하였다.

지방의 교육을 담당하고 선현에대한 제사를 지내는 곳인 만큼 향교는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그 중요도 때문에 향교 주변 근방에 하마비(下馬碑)를 세워 말을 타고 온 사람들이 내려서 향교 주변을 걸어가게끔 했을 정도로 향교 주변을 신성시하기도 했다.

논산 연산향교

제향일 : 음역 2월8일, 7월 13일

주소 : 충남 논산시 연산면 관동1길 88-12

연락처 : 041-733-5033

이메일 : dbswjdgkr11@hanmail.net

프로그램 주최 : 연산향교